-
[Make] 카카오톡 토큰 발급No Code/Make 2024. 4. 12. 15:46
Make.com에 카카오톡을 연동하기 위해서는 토큰을 발급 받아야 한다.
토큰 발급을 위해서는 먼저 인증 코드를 받아야 하고, 인증 코드로 access token과 refresh token을 받을 수 있다.
발급 받은 token은 별도 저장하여 메시지 전송등에 사용한다.
여기서는 카카오톡으로 '나에게 메시지 보내기'를 위한 토큰 발급 받는 방법을 작성하였다.
1. 카카오 디벨로퍼스 접속 및 로그인
Kakao Developers
카카오 API를 활용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해보세요. 카카오 로그인, 메시지 보내기, 친구 API, 인공지능 API 등을 제공합니다.
developers.kakao.com
2. '내 애플리케이션' 클릭
3. '애플리케이션 추가하기'를 클릭하고 내용을 작성하여 완료
4. 생성된 애플리케이션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정보가 표시된다. (REST API 키는 사용될 예정)
5. 사이드 메뉴의 카카오 로그인에 들어가 활성화 설정 및 Redirect URI를 추가 한다.
- 인증 코드를 받기위해서 로그인 활성화와 Redirect URI 추가가 필요
- Redirect URI는 https://localhost.com으로 설정
6. 동의항목에서 카카오톡 접근권한중 '카카오톡 메시지 전송'을 이용중 동의로 설정한다.
7. 크롬의 새 시크릿 창을 열어 인증키를 요청하는 url을 주소창에 넣는다.
(참고 : 로그인이 된 세션이 유효하면 로그인 요청을 하지 않으므로 시크릿모드에서 수행한다)아래의 URL중 ${REST_API_KEY}는 위의 4번항목에 나오는 본인의 REST API KEY로 바꿔 넣는다.
https://kauth.kakao.com/oauth/authorize?response_type=code&client_id=${REST_API_KEY}&redirect_uri=https://localhost.com&scope=talk_message
8. 카카오계정 로그인을 하고, '확인하고 계속하기'를 클릭한다.
(이후 브라우저가 정보를 받기까지 시간이 조금 소요됨. 대기할것)
9. 시간이 흐르면 '사이트에 연결할 수 없음' 표시가 뜨며, 이때의 주소창에서 code를 가져옴
(인증 코드는 localhost.com/?code= 이후부터 끝까지를 복사해서 별도 저장한다.)
10. make.com에 접속하여 새 시나리오를 작성한다.
- HTTP 모듈의 Make a request
- 아래와 같이 값을 입력한다. (client_id는 REST API KEY를 입력, code는 9번 항목에서 얻은 인증코드를 입력)
- 관련 정보는 카카오 디벨로퍼스에서 확인( https://developers.kakao.com/docs/latest/ko/kakaologin/rest-api#request-token)
- 인증 코드는 여러번 사용이 안되므로 재시도시에는 인증 코드를 다시 받아야 한다는 점에 주의한다.
11. 정상적으로 동작할 경우, status code 200과 access_token과 refresh_token을 받게 된다.
12. Access Token과 Refresh Token을 Airtable등에 별도 저장한다.
- Access Token은 카카오톡 메시지 전송시 필요
- Refresh Token은 사용 기간이 짧은 Access Token을 재발급 받기 위해 필요
- Refresh Token도 사용 기간이 있으므로 만료 될 경우 인증코드를 받아 재발급 필요
'No Code > Make'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ke] 카카오 토큰 만료 확인 및 갱신 (0) 2024.04.15 [Make] API로 나에게 카카오톡 메시지 전송하기 (0) 2024.04.12 [Make] 에어테이블 - OAuth를 사용하여 연결 (0) 2024.04.12 [Make] 에어테이블 - Personal Access Token으로 연결 (0) 2024.04.12 [Make] Instagram for Business 설정 방법 (1) 2024.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