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탁월한 생각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팀 허슨책 2024. 1. 14. 16:12
1. 생각은 단순한 재능이 아니라 일종의 '기술'이다. 배우고 연습하고 발전시킬 수 있다.2.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태도이며 변화를 위해 의식적으로 노력해야한다. 생산적 사고의 배경1. 우리는 익숙해진 패턴을 따라 살아가며, 일도 예전부터 해오던 방식으로 한다. 우리는 '어쩔 수 없는' 경우에만 변한다.2. 생각을 더 잘 해야 하는 이유 - 생각으로 질적/양적 개선을 이룰 여지가 많다. - 현재는 무엇을 아는가보다 어떻게 생각하는가가 중요하다. 정보화 시대에 정보를 얼마나 잘 활용하느냐가 중요 - 생산적 사고는 누구나 익힐 수 있는 기술이기때문에 더 잘 할수 있다.3. 뇌가 에너지를 최소화하는 방법 1) 원숭이의 마음(주의 산만) - 마음은 자기만의 생각을 갖고 있고 통제하기 어렵다. 2) 악..
-
거인의 노트 - 김익한책 2023. 12. 11. 06:34
인생의 본질은 자유를 찾는것이며, 자유의 영토를 넓히는 과정이 성장이다.기록을 활용하여, 외부의 것을 자기화하고 내부의 소리를 명시화하여 성장할 수 있다. 핵심만 요약하는 과정을 통해 자기것으로 만들 수 있고, 생각을 분류함으로써 생각의 방향을 할 수 있다. 성장1. 인간이 성장하는 방법은 1)외부로부터 받아들이는 것, 2)내 안에서 끄집어 내는 것이다.2. 어떤 순간에도 반드시 생각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순간의 생각) 그리고 자기화한 것만 남는다.(자기화)3. 순간의 생각과 자기화를 의식적으로 하기 위해 기록을 활용 하라.4. 기록은 내면의 소리(잠재성)을 명시화 할 수 있게 한다.-> 외부의 것을 자기화, 내부의 소리를 명시화5. 생각하는 훈련 - 반복적으로 되뇌기, 생각을 이어하기(분류와 순서)..
-
시대예보: 핵개인의 시대 - 송길영책 2023. 12. 4. 06:31
지능화와 고령화. 앞으로 사회가 자연스럽게 변화해 나가는 방향을 읽을 중요한 축 국가주의, 전체주의, 단일화, 권위의 시대는 지났다. 1. 다양해진 삶에서 누군가가 모든 분야의 권위를 갖기 어렵다. 현명한 우리는 다양한 사람들로의 분산 처리를 통해 권위자의 아웃소싱을 도모한다. 2 권위주의 시대를 지나 이제 개인이 상호 네트워크의 힘으로 자립하는 새로운 개인의 시대가 도래했다. - 개인의 발휘할 수 있는 힘이 강해졌다. (지능화의 결과, 디지털 도구와 AI의 도움으로 혼자서 해낼 수 있게 됨) - 집단과 기성의 문법이 발휘할 수 있는 힘이 약해졌다. (고령화로 인한 예전 생애주기는 더이상 작동하지 않음) 3. 국가주의의 세계관은 더이상 여러 세계관을 가진 핵개인들과 소통할 수 없다. 4. 새로운 대상을 ..
-
더 마인드 - 하와이 대저택책 2023. 11. 25. 12:08
우리의 시야는 손전등이다. 불 꺼진 거대한 창고를 비추며 각자 문제를 하나둘씩 발견한다. 문제가 '발생했다'고 생각하지만 그 문제는 원래부터 있었다. 만약 인간이 불 켜진 거대한 창고 전체의 모습을 볼 수 있게 된다면, 사방에 흩어진 수많은 문제를 보는것만으로도 좌절해서 아무것도 하지 못할게 뻔하다. (우리 시야가 손전등인게 오히려 좋아.) 우리는 서울에서 부산까지 가는 길을 전부 밝힐 필요가 없다. 헤드라이트만으로 갈 수 있다. 소프트웨어 장착 1. 주변 사람들은 엄청나게 중요하다. 그 주변 사람들이 바로 당신의 전부이고, 당신의 세상이기 때문이다. - 나의 현실은 계속 반복해서 듣는 말, 나 스스로 하는 말, 그리고 다른 사람이 동조하는 말에 의해 컨트롤된다. (즉, 나의 신념은 주변사람의 언어로 이..
-
내가 가진 것을 세상이 원하게 하라 - 최인아책 2023. 11. 13. 06:48
1. 일이란 무엇인지 정의를 내리기 힘들면 반대말을 생각해 보자. 자신이 원해서 일하는 사람들에게 일의 반대말은 '여가'나 '놀이'가 아닌 '나태'이다.2. 일을 할때 즐거움과 기쁨의 순간 - '내가 잘 쓰이고 있구나' '내가 구상한 방법이 통했구나' '내 생각대로 하니까 되네' (공감되는 문장)3. 사업의 성패는 그 업의 개념 파악 여부에 달려 있다. 마찬가지로 일의 본질이 무엇인지를 먼저 파악해야 한다. 자신만의 관점이 중요.4. 문제는 회사가 아니다. 올바른 질문은 '이곳에서 내가 원하는 일을 내가 원하는 방식으로 할 수 있는가?이다.5. '쓰인다'는 말은 어떤 가치와 연결되어 있는 느낌이다. 나의 노력의 결과로 나아지게 하는 느낌, 도움이 되는 느낌.(쓰인다는 건 어떤 가치를 줄 수 있다는 것)6..
-
한석준의 말하기 수업 - 한석준책 2023. 10. 29. 20:49
좋은 말하기, 말 잘하는 방법 - 복식 호흡, 모음 발음 연습1. 발성과 발음은 의사전달의 기본이며, 이는 훈련으로 좋아질 수 있다. 2. 좋은 발성의 핵심은 복식호흡으로 발성하는 것 - 허파에 공기를 가능한 한 많이 채운다는 느낌으로 숨을 들어마신다. - 입을 작게 오므리고 가늘고 길게 숨을 내뱉는다.(10초 이상) - 다시 숨을 들이마시고, '오'라는 소리를 내며 길게 내뱉는다. 소리를 숨에 살짝 얹는 느낌으로3. 볼펜이나 손가락으로 배를 지그시 누른 상태로 배에 살짝 힘이 들어간 것이 느껴진다면 제대로 발성하고 있는 것4. 엎드린 상태(플랭크 자세)에서 의자에 다리를 올리고 글을 읽는 방법5. 배에 힘을 가득 준 채로 말하는 연습을 하다보면, 말 할 때 배 힘을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깨닫게 ..
-
[Blender] 기본단위 변경Blender 2023. 10. 10. 06:30
기본 단위 변경은 아래 경로에서 변경한다.Scene Properties - Unit System과 하위 단위계